Spring Framework


Spring Framework란 무엇인가요?

Spring Framework란 자바를 위한 오픈 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써 자바 기반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프레임워크입니다. Spring Framework는 핵심 철학으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 기본적인 틀을 구성해줌으로써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하게 끔 도와줍니다.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프레임워크(Framework)는 특정한 문제 해결을 위해 어느 정도의 뼈대 즉, 구조를 제공해주는 것을 의미하구요, 라이브러리(Library)는 특정 기능 사용을 위한 도구나 함수들의 모음을 의미합니다.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는 프로그램의 전체 흐름에 대한 제어권에서 차이가 발생합니다. 프레임워크는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흐름을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프레임워크가 사용자가 작성한 코드를 호출해서 사용합니다. 하지만 라이브러리는 사용자가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흐름을 제어하며 사용자가 코드로써 라이브러리의 특정 기능을 직접 가져다 쓰는것을 의미합니다.

Spring Framework의 3대 특징인 IoC, AOP, PSA에 대해서 설명해주실레요?

  • IoC란 Inversion of Control의 줄임말로 개발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의 제어권이 프레임워크에 넘어가서 Spring Framework에서 개발자의 코드를 호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IoC는 DL(Dependency Lookup)과 DI(Dependency Injection)에 의해서 구현되는데 클래스 및 계층간에 필요한 의존관계를 빈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IoC Container가 의존성을 찾아주는 것을 DL이라고 하구요, 의존성을 주입해 주는 것을 DI라고 합니다.
  • AOP란 Aspect Oriented Programming의 줄임말로 여러 모듈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기능 및 로직들을 분리하여 관리함을 통해서 모듈화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의미합니다. AOP의 사용 예로는 로깅, 트랜잭션, 인증 등이 존재합니다. 컴파일 타임과 클래스 로드 타임, 런타임 등 모든 시간에 AOP를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Java Reflection, Proxy, …)
  • PSA란 Portable Service Abstraction의 줄임말로 환경과 세부 기술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관된 방식으로 기술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PSA가 적용된 대표적인 곳은 JDBC, JPA, Transaction Manager 등이 존재합니다.

IoC Container에 대해서 알고 계시나요?

IoC 컨테이너란 Spring Bean 즉, IoC Container에서 관리하는 객체의 생성과 관계설정, 사용, 제거 등의 전체 Lifecycle을 관리해주는 작업을 하는 컨테이너를 IoC 컨테이너라고 부릅니다. IoC Container의 대표적인 명세는 BeanFactory인데 요즘은 이를 상속하는 ApplicationContext를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ApplicationContext는 BeanFactory를 상속하는 인터페이스로써 BeanFactory의 기능 뿐만 아니라, 메시지 다국화, 이벤트 발행 기능, 리소스 로딩 기능 등의 여러 기능을 명세하고 있습니다.

IoC Container에 Bean을 등록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나요?

IoC Container에 Bean을 등록하는 방법으로는 xml 설정파일을 이용하는 방법, Configuration 클래스에서 애노테이션을 사용해서 Bean을 등록하는 방법, Bean 등록을 하고 싶은 클래스에서 애노테이션을 통해서 Bean을 등록하는 방법이 존재합니다. 마지막의 경우 Component Scan이 꼭 필요하지만 Spring Boot의 경우 Component Scan까지 자동으로 구성해줘서 스프링 환경을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IoC Container로부터 Bean을 주입받는 방법은 무엇이 있나요?

IoC Container로부터 Bean을 주입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은 Field를 통해서 주입 받을 수 있는 방법과 Setter를 통해서 주입 받는 방법, 생성자를 통해서 주입받는 방법이 존재합니다. Bean이 주입 될 때 같은 타입의 Bean이 여러개 존재 한다면 @Primary 애노테이션을 사용해서 주입될 Bean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고 @Qualifiier 애노테이션으로 주입될 Bean을 명확히 지정할 수 있습니다. 관련 타입의 Bean을 모두 주입받고 싶다면 List를 사용하는 방법도 존재합니다.

Web Server와 Web Application Server의 차이를 아시나요?

Web Server는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 정적인 컨텐츠인 HTML, CSS, Image 파일 등을 제공하는 서버를 말합니다. Web Server의 대표적인 예로는 Apache Server, Nginx 등이 존재합니다.

Web Application Server는 DB 연산이나 다양한 로직 처리를 요구하는 동적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Application Server를 의미합니다. 이는 HTTP를 통해 컴퓨터나 장치에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해주는 미들웨어입니다. WAS는 Web Container 혹은 Servlet Container라고도 불리며 대표적인 예로는 Tomcat, Jetty 등이 존재합니다.

Web Server와 WAS를 분리하는 이유는 자원 이용의 효율성 및 장애 대응, 배포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위해서 분리합니다.

Java Reflection이란 무엇인가요?

Java Reflection이란 컴파일 타임에 클래스나 메서드의 이름을 알지 못해도 런타임에 클래스나 인터페이스, 메서드, 필드 등을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Java Reflection을 사용하면 새로운 객체를 만들수도 있고,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으며, 필드 값을 얻거나 설정할 수 있습니다.

Java Reflection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예로는 스프링의 Dependency Injection이 존재하며 Jackson 라이브러리의 ObjectMapper 에서도 사용되어집니다.

Spring Boot와 Spring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Spring Boot와 Spring Framework의 가장 큰 차이는 AutoConfiguration 즉, 자동 설정의 차이입니다. Spring Boot는 Spring Boot Starter Project를 통해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설정을 자동으로 구성해주고 관련 라이브러리간에 호환성 문제를 해결해줍니다.

한 예로써 Spring MVC 프로젝트를 Spring Framework 기반으로 구성 한다면, 관련 Bean 설정, DispatcherServlet 설정, View Resolver 설정, JDBC 설정 등의 다양한 설정 및 버젼간에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지만 Spring Boot Starter Web을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구성한다면 초기 구성에 걸리는 비용 문제와 호환성 이슈들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JAR(Java Archive)

JAR(Java Archive, 자바 아카이브)는 여러개의 자바 클래스 파일과 클래스들이 이용하는 관련 리소스(텍스트, 그림 등) 및 메타데이터를 하나의 파일로 모아서 자바 플랫폼에 응용 소프트웨어나 라이브러리를 배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패키지 파일 포맷을 의미합니다.


Spring MVC


MVC 패턴이란 무엇인가요?

MVC 패턴이란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자주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으로 시스템을 크게 Model, View, Controller로 나누어 모듈간에 결합도를 낮추고 응집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패턴입니다.

  • Controller란 사용자로부터 요청을 받아서 모델, 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적절한 응답을 제공해주는 중개자의 역할을 하는 컴포넌트를 의미합니다.
  • Model은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도메인 등을 의미합니다.
  • View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화면이나 페이지등을 의미합니다.

MVC Pattern Architecture

Servlet 이란 무엇인가요?

Servlet이란 특정한 타입의 네트워크 요청에 응답하기 위한 Java EE의 인터페이스 즉, 명세입니다. 보통 구현체로 HttpServlet을 사용하며 Spring MVC에서는 DispatcherServlet을 Front Controller로 사용합니다.

Servlet과 WAS(Servlet Container)의 관계는 어떻게 되나요?

Servlet Container는 설정 파일(web.xml)을 읽고, servlet 클래스를 식별한 다음 ClassLoader를 사용하여 JVM에 로드하고 요청에 알맞는 Servlet을 실행합니다. Servlet Container는 요청이 들어올 때마다 서블릿을 생성하며 하나의 서블릿에는 하나의 쓰레드가 할당됩니다.

MVC 패턴 Model1과 Model2를 비교해주세요.

MVC 패턴 Model 1은 사용자의 요청과 응답을 전부 다 JSP가 처리하는 모델을 의미하구요, MVC패턴 Model 2는 컨트롤러에서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비즈니스 로직을 태우고 데이터를 JSP로 넘겨서 응답을 하는 모델을 의미합니다.

MVC Model 1

MVC Model 2

Spring MVC를 위한 필수 설정은 어떤게 있나요?

web.xml 파일을 통해 특정 요청이 Servlet Container로 들어왔을 때 어떠한 Servlet을 맵핑할지 설정해야 하구요, Servlet Container가 Servlet을 맵핑하기 전에 필터링 해야할 부분이 있다면 필터 설정이 필요합니다. 그 외에도 View를 Resolve할 필요가 있다면 View Resolver, Message를 특정 타입으로 변환해야할 필요가 있다면 MessageConverter, 애노테이션 기반의 Bean 등록을 위해 ComponentScan, JDBC 설정을 위한 각종 Bean 설정과 트랜잭션 설정 등 다양한 설정이 MVC 기본 프로젝트를 구성하기 위해서 필요합니다.

Spring MVC 구조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Spring MVC의 시작은 Front Controller인 DispatcherServlet입니다. DispatcherServlet은 사용자의 HTTP 요청을 처리하기 위하여 등록된 핸들러로 디스패치시켜 맵핑 및 예외 처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DispatcherServlet으로 요청이 들어왔을 때의 Spring MVC의 대략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DispatcherServlet으로 HTTP Request가 들어온다.
  2. DispatcherServlet은 요청 URL 등의 정보와 맵핑되는 적절한 Controller를 선택하는 작업을 HandlerMapping에 디스패치한다.
  3. DispatcherServlet은 Controller의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하는 작업을 HandlerAdapter에 디스패치한다.
  4. HandlerAdapter는 Controller의 비즈니스 로직 프로세스를 호출한다.
  5. Controller는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하고 결과를 모델에 맵핑하고 view의 논리적인 이름을 HandlerAdapter에 리턴한다.
  6. DispatcherServlet은 View name에 일치하는 View를 Resolving하는 작업을 ViewResolver에게 디스패치하고 ViewResolver는 View name에 맵핑된 View를 리턴한다.
  7. DispatcherServlet은 랜더링 프로세스를 리턴된 뷰에 디스패치한다.
  8. View는 Model을 랜더링하고 Response를 전송한다.

Spring MVC Servlet Processing간에 예외가 발생하면 어떻게 되나요?

Request Mapping 또는 Request Handler로 부터 예외가 발생하면 DispatchServlet은 HandlerExceptionResolver 인터페이스의 구현체가 예외를 처리해 적절한 응답을 클라이언트에게 보냅니다. 저는 Jackson을 사용해서 Deserailize간에 예외 발생을 경험해 보았기 때문에 DefaultHandlerExceptionResolver가 400번 상태 코드를 맵핑해서 사용자에게 응답해주었습니다.


Spring Security


Spring Security는 무엇인가요?

Spring Security란 자바 어플리케이션에서 인증과 권한 부여, 일반적인 공격에 대한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Spring Security를 사용하면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관련 기능을 자체적으로 구현할 필요없이 쉽고 안전하게 구현할 수 있고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서 쉽게 확장할 수도 있습니다.

인증 구현을 위해 Spring Security를 사용한 이유가 있나요?

인증 구현을 위해서 Spring Security를 사용한 이유는 공식문서에서 기본적인 인증과 권한 부여 기능을 제공한다고 해서 사용했구요, 인터셉터와 AOP를 활용하는 방식이 아닌 Filter를 통해서 색다르게 인증을 구현하고 싶어서 Spring Security를 사용하였습니다.

Spring Security사용하시면서 어려운 점이 없었나요?

Spring Security를 사용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 중에 하나는 Spring MVC와 Spring Security의 구조를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해서 어느 시점에 Security Filter와 DispatcherServlet이 동작하며 어떻게 Security Filter에 JWT를 처리하는 필터를 만들어서 끼워 넣을까?에 대해서 설계하고 이해하는데 많이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Filter와 Security Filter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Filter와 Security Filter 모두 Servlet에 요청이 맵핑되기 전에 실행되는 필터(Filter)입니다. 둘다 동일한 Filter이지만 단순한 Filter는 서블릿 컨테이너에 직접 등록해서 사용하는 필터이고 Security Filter는 DelegatingFilterProxy가 서블릿 컨테이너에 Filter로 등록되어서 Filter 작업을 Security FilterChain으로 위임해서 실행되는 필터를 의미합니다.

즉, 다시 말해서 Filter와 Security Filter 모두 서블릿에 요청이 맵핑되기 전에 실행되는 필터인데 이를 서블릿 컨테이너에 직접 등록하느냐 아니면 DelegatingFilterProxy가 Filter작업을 Security Filter Chain으로 위임해서 사용하느냐의 차이입니다.

Security Filter Chain

Filter와 Interceptor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Filter는 Spring Context 외부에 존재하여 Servlet에 요청이 맵핑되기 전에 작업을 수행하구요, Interceptor는 Spring Context 내부에 존재하여 DispatcherServlet이 컨트롤러를 호출하기 전과 후에 작업을 수행합니다

Spring MVC Request Life Cycle

인증을 위해서 어떻게 Spring Security를 사용하셨나요?

Spring Security를 사용해서 인증을 구현하기 위해 JWT를 생성, 인증, 권한 부여, 유효성 검사, PK 추출을 할 수 있는 클래스인 JwtTokenProvider를 만들었구요, 이를 사용해서 Filter 작업을 수행할 JwtAuthenticationFilter를 만들었습니다. JWT 인증 필터가 기본 인증 필터인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Filter 이전에 수행할 수 있도록 Security Filter Chain 설정을 통해서 인증을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SecurityContextHolder

Spring Security 인증의 핵심은 SecurityContextHolder이다.

  • SecurityContextHolder는 Authentication 객체를 저장하는 SecurityContext를 포함한다.
  • Authentication 객체는 사용자를 식별 데이터를 의미하는 principle, 암호를 의미하는 credentials, 권한을 의미하는 authorities를 포함한다.

Spring Security의 전체적인 인증 프로세스를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1. Client가 요청을 보내면, Servlet Filter에 의해서 Security Filter로 작업이 위임되고 여러 Security Filter 중에서 JwtAuthenticationFilter에서 인증을 처리합니다.
  2. JwtAuthenticationFilter는 Servlet 요청 객체에서 토큰을 가져와서 JwtTokenProvider가 해당 토큰을 검증해 토큰이 유효한지 검사합니다.
  3. 토큰이 유효하다면 Authentication 객체를 만들고 AuthenticationManager를 사용할 필요 없이 직접 SecurityContextHolder에 접근해서 Authentication 객체를 저장합니다.

SecurityContext는 default로 ThreadLocalSecurityContextHolderStrategy를 사용하여 인증 객체를 저장하기 때문에 스레드당 즉, 서블릿당 하나의 인증 객체가 저장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추후에 Controller나 Business Layer에서 이러한 Authentication 객체를 가져와서 직접 관련 비즈니스 로직들을 사용자에 맞게 태웠습니다.

Java ThreadLocal

자신의 스레드에서만 읽고 쓸 수 있는 변수를 저장하거나 관리하는데 사용하는 객체를 의미합니다.


Spring Data JPA & JPA


ORM이란 무엇인가요?

ORM이란 Object Relational Mapping의 줄임말로써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간에 통신시 발생하는 패러다임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고자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간에 데이터를 자동으로 매핑해주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ORM, JPA, Hibernate, Spring Data JPA를 각각 비교해보세요.

  • ORM은 객체 지향 프로그램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간에 통신시 발생하는 패러다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를 자동으로 매핑해주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 JPA란 자바 진영의 ORM을 위한 명세를 의미합니다.
  • Hibernate란 Java 진영의 ORM 명세인 JPA를 구현한 여러 구현체 중 하나를 의미합니다. JPA 구현체로써 Hibernate 외에도 EclipseLink나 DataNucleus 등이 존재합니다.
  • Spring Data JPA는 Spring 환경에서 JPA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Repository 기반으로 추상화 시킨 스프링 서브 프로젝트입니다. Spring Data JPA는 JPA 사용시 발생하는 수 많은 boilerplate를 없애주고 pagination이나 Query Method 등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합니다.

프로젝트에 JPA를 사용하신 이유가 뭔가요?

프로젝트 진행간에 발생하는 반복되는 쿼리문을 없애고 좀 더 객체지향적으로 코드를 작성하고 싶어서 JPA를 사용하였습니다.

JPA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말씀해주실 수 있나요?

JPA의 대표적인 장점으로는 개발자가 반복되는 쿼리를 직접 작성하지 않아도 됨으로 개발 생산성 측면에서 효율이 올라가는 장점이 존재합니다. 대표적인 단점으로는 Persistent Context에서 1차 Cache, Write Behind, Dirty Checking, Lazy Loading 등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해주기 때문에 해당 개념을 잘 모르고 JPA를 사용했을 경우 수 많은 예외와 성능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JPA Entity의 상태 변화에 대해서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JPA Entity의 상태는 Transient 상태, Persistent 상태, Detached 상태, Removed 상태가 존재합니다.

  • Transient는 객체가 새롭게 생성된 상태를 의미하며 Persistent Context에서 관리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 Persistent는 Persistent Context에 의해서 관리되어지는 상태이며 해당 엔티티는 1차 캐시, write behind, Dirty checking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Detached는 Persistent Context에서 해당 엔티티를 더이상 관리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 Removed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엔티티를 제거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영속성이 어떻게 유지되고 DB에 저장되는건가요?

  1. 트랜잭션이 시작합니다.
  2. 새로운 엔티티 객체를 생성합니다.
  3. Persistent Context에 엔티티 객체를 올립니다.
  4. Persistent Context는 해당 엔티티를 관리하면서 Dirty Checking이나 1차 캐시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줍니다.
  5. 트랜잭션이 커밋되기 전에 flush가 발생하며 Persistent Context의 변경 내용들이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됩니다.
  6. 트랜잭션 커밋됩니다.

1차 Caching은 무엇인가요?

Flush가 발생하기 전까지 Persistent Context 내부에서 엔티티를 캐싱하는 것을 1차 캐싱이라고 합니다.

Write Behind는 무엇인가요?

Flush가 발생하기 전까지 DB에 write 하는 쿼리문을 Persistent Context 내의 쓰기 지연 SQL 저장소에서 관리해서 flush가 일어날 때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것을 Write Behind 라고 합니다.

Dirty Checking은 무엇인가요?

Persistent Context에서 Flush가 일어날 때 저장된 엔티티와 스냅샷의 상태를 비교해서 서로 다르면 알맞는 쿼리문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것을 Dirty Checking이라고 합니다.

Lazy Loading은 무엇인가요?

Lazy Loading이란 DB로부터 엔티티를 가져올 때 참조된 엔티티와 관련된 select 쿼리가 발생하는 것이 아닌 프록시를 통해서 직접 참조된 엔티티를 사용될 경우에 select 쿼리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DB로부터 직접 가져오는 엔티티와 이에 참조된 엔티티가 자주 같이 사용된다면 즉시 로딩을 사용하면 좋다.

Querydsl은 무엇인가요?

Querydsl이란 Type-safe한 방식으로 쿼리를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레임워크를 의미합니다. querydsl을 사용하면 컴파일 타임에 쿼리의 문법 오류를 검증할 수 있고, IDE의 자동 완성 기능을 사용해서 보다 type-safe한 쿼리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