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MVC를 활용한 게시판 구축하기
by Green Frog Developer
이 글은 Spring MVC를 활용한 게시판 구축하는 과정을 포스팅한 글이다.
[사용한 개발 환경]
자바 : Java8
운영체제: macOS Catalina
개발 도구: IntelliJ IDEA ULTIMATE
서버: Tomcat 8.5.53
Spring MVC의 Request처리 방법
스프링 MVC에서는 @Controller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 안에 @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이 붙은 메서드에서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하게 된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를 기반으로 게시판을 구축해보자.
스프링 MVC의 특징을 중심으로 간단하게 만드는 게시판이기 때문에 페이징 기능과 검색 기능은 생략했다.
1. 스프링 MVC 프로젝트 생성
스프링 MVC 프로젝트 생성을 위해 다음의 포스팅을 참고하자.
Intellij에서 스프링 MVC Project 생성하기
2. 인메모리 DB HSQL 사용하기
게시판을 작성하려면 데이터를 저장할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간단하게 사용해 볼 수 있는 인메모리(in-memory) DBMS중 HSQL(HyperSQL)을 사용할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생성될 때 메이븐 기반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라이브러리 관리는 간단하게 메이븐 설정 파일인 pom.xml에 HSQL에 대한 의존성만 추가하면 된다.
메이븐 설정 파일에 HSQL 의존성 추가하는 방법
- Maven Repository에 HyperSQL Database를 검색합니다.
- pom.xml에 추가할 Maven용 텍스트 문자열을 복사합니다.
- 프로젝트의 pom.xml의 <dependencies>태그를 찾아 그 아래에 복사해둔 내용을 넣는다.
다음으로는 HSQL을 사용하기 위해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데이터베이스 지원 라이브러리의(jdbc) 의존성을 다음과 같이 추가한다.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groupId>
<artifactId>spring-jdbc</artifactId>
<version>${org.springframework-version}</version>
</dependency>
HSQL을 Bean으로 등록하기 위해 다음의 태그를 applicationContext.xml에 추가해 준다. 추가적으로 태그의 속성(jdbc:script)으로 두 개의 SQL파일(스키마 정보, 데이터 정보) 정보를 추가한다. (type=”HSQL”은 Default이기 때문에 생략해도 된다.)
<jdbc:embedded-database id="dataSource" type="HSQL">
<jdbc:script location="classpath:BoardSchema.sql"></jdbc:script>
<jdbc:script location="classpath:BoardData.sql"></jdbc:script>
</jdbc:embedded-database>
두 개의 SQL파일 정보는 다음과 같다.
resources/BoardSchema.sql
CREATE TABLE BOARD (
seq INTEGER IDENTITY PRIMARY KEY,
title VARCHAR(255) NOT NULL ,
content VARCHAR(1000) NOT NULL ,
writer VARCHAR(10) NOT NULL ,
password INT NOT NULL ,
regDate TIMESTAMP NOT NULL ,
cnt INT NOT NULL
);
resources/BoardData.sql
INSERT INTO BOARD(title, content, writer, password, regDate, cnt)
VALUES ('t1', 'c1', 'w1', 1234, '2014-09-09 14:21:12', 0);
INSERT INTO BOARD(title, content, writer, password, regDate, cnt)
VALUES ('t2', 'c2', 'w1', 1234, '2014-09-09 14:21:12', 1);
INSERT INTO BOARD(title, content, writer, password, regDate, cnt)
VALUES ('t3', 'c3', 'w1', 1234, '2014-09-09 14:21:12', 2);
INSERT INTO BOARD(title, content, writer, password, regDate, cnt)
VALUES ('t4', 'c4', 'w1', 1234, '2014-09-09 14:21:12', 3);
INSERT INTO BOARD(title, content, writer, password, regDate, cnt)
VALUES ('t5', 'c5', 'w1', 1234, '2014-09-09 14:21:12', 4);
INSERT INTO BOARD(title, content, writer, password, regDate, cnt)
VALUES ('t6', 'c5', 'w1', 1234, '2014-09-09 14:21:12', 5);
INSERT INTO BOARD(title, content, writer, password, regDate, cnt)
VALUES ('t7', 'c5', 'w1', 1234, '2014-09-09 14:21:12', 6);
이로써 HSQL을 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하기 위한 준비는 모두 끝났다.
3. DTO와 MyBatis를 이용한 DAO 구현
데이터베이스를 다루기 위해서 SQL Mapper인 MyBatis를 사용해 보자.
중대형 프로젝트에서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적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모듈을 구성한다. 참고해서 DTO를 구현해 보자.
참고로 DTO(Data Transfer Object)란 VO(Value Object)로 바꿔 말할 수 있는데 계층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Java Beans를 말합니다.
DTO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조를 그대로 반영한다. BoardDTO라는 이름으로 클래스를 생성하자.
BoardDTO.java (Data Transfer Object == Value Object)
package board.domain;
import org.apache.ibatis.type.Alias;
import java.sql.Timestamp;
@Alias("boardDTO")
public class BoardDTO {
private int seq;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content;
private String writer;
private int password;
private Timestamp regDate;
private int cnt;
public BoardDTO() {
}
public BoardDTO(String title, String content, String writer, int password) {
super();
this.title = title;
this.content = content;
this.writer = writer;
this.password = password;
this.cnt = 0;
}
// getter, setter 생략
}
이제 MyBatis를 사용하기 위해 MyBatis의 SqlMapClient에 PSA를 적용한 어댑터를 Bean으로 등록해보자.
sqlSessionFactory Bean에 MyBatis 설정 파일, SQL 스크립트 파일을 속성으로 추가.
applicationContext.xml (스프링 설정 파일)
<?xml version="1.0" encoding="UTF-8"?>
<beans xmlns="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mlns:jdbc="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jdbc"
xsi:schemaLocation="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spring-beans.xsd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jdbc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jdbc/spring-jdbc.xsd">
<!-- Java HSQL database connection -->
<jdbc:embedded-database id="dataSource" type="HSQL">
<!-- SQL 파일 정보 추가 -->
<jdbc:script location="classpath:BoardSchema.sql"></jdbc:script>
<jdbc:script location="classpath:BoardData.sql"></jdbc:script>
</jdbc:embedded-database>
<!-- sqlSessionFactory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sqlSessionFactoryBean클래스 Bean 생성 -->
<bean id="sqlSessionFactory" class="org.mybatis.spring.SqlSessionFactoryBean">
<!-- sqlSessionFactoryBean클래스 인스턴스 내의 속성들을 채운다. -->
<property name="dataSource" ref="dataSource"/>
<property name="configLocation" value="classpath:sqlmap/config/mybatis-config.xml"/>
<property name="mapperLocations">
<list>
<value>classpath:sqlmap/sqlmap-board.xml</value>
</list>
</property>
</bean>
<!-- sqlSessionTemplate을 Bean으로 등록 -->
<!-- sqlSessionTemplate(SqlMapClient) 객체 생성시 sqlSessionFactory속성에 sqlSessionFactoryBean객체로 채워진다. (Singleton) -->
<bean id="sqlSessionTemplate" class="org.mybatis.spring.SqlSessionTemplate" destroy-method="clearCache">
<constructor-arg ref="sqlSessionFactory"/>
</bean>
</beans>
mybatis-config.xml (MyBatis 설정 파일)
<?xml version="1.0" encoding="utf-8" ?>
<!DOCTYPE configuration PUBLIC "-//mybatis.org//DTO config 3.0//EN" "http://mybatis.org/dtd/mybatis-3-config.dtd">
<configuration>
<!-- 마이바티스 작동 규칙 정의 -->
<settings>
<!-- 설정에서 각 매퍼에 설정된 캐시를 전역적으로 사용할지 말지에 대한 여부 -->
<setting name="cacheEnabled" value="false" />
<!-- 생성키에 대한 JDBC 지원을 허용. 지원하는 드라이버가 필요하다. true로 설정하면 생성키를 강제로 생성한다. -->
<setting name="useGeneratedKeys" value="false" />
<!-- 전통적인 데이터베이스 칼럼명 형태인 A_COLUMN을 CamelCase형태의 자바 프로퍼티명 형태인 aColumn으로 자동으로 매핑하도록 함 -->
<setting name="mapUnderscoreToCamelCase" value="true" />
</settings>
<!-- 타입 별칭은 자바 타입에 대한 짧은 이름이다. 오직 XML 설정에서만 사용되며, 타이핑을 줄이기 위해 존재한다.-->
<typeAliases>
<!-- 이 설정에서 “boardDTO”는 여러군데에서 “board.domain.BoardDTO” 대신 사용할 수 있다. -->
<typeAlias alias="boardDTO" type="board.domain.BoardDTO"/>
</typeAliases>
</configuration>
sqlmap-board.xml (SQL 스크립트 파일)
<?xml version="1.0" encoding="UTF-8" ?>
<!DOCTYPE mapper PUBLIC "-//mybatis.org//DTO Mapper 3.0//EN" "http://mybatis.org/dtd/mybatis-3-mapper.dtd">
<mapper namespace="boardDAO">
<select id="list" resultType="boardDTO">
SELECT * FROM BOARD
ORDER BY seq
</select>
<!-- 해당 쿼리문은 int인자 타입을 받아서 boardDTO라는 별칭의 인자 타입을 리턴한다. -->
<select id="select" parameterType="int" resultType="boardDTO">
SELECT * FROM
BOARD WHERE seq=#{seq}
</select>
<!-- 들어오는 인자는 boardDTO라는 별칭을 가진 인자이다. -->
<insert id="insert" parameterType="boardDTO">
INSERT INTO BOARD(title, content, writer, password, regDate, cnt)
VALUES (${title}, ${content}, ${writer}, #{password}, SYSDATE, 0);
<selectKey keyProperty="seq" resultType="Integer">
SELECT NVL(MAX(seq), 0) FROM BOARD
</selectKey>
</insert>
<update id="update" parameterType="boardDTO">
UPDATE BOARD SET title = #{title}, content = #{content}, writer = ${writer}
WHERE seq = #{seq}
AND password = #{password}
</update>
<update id="updateCount" parameterType="int">
UPDATE BOARD SET
cnt = cnt + 1
WHERE seq = #{seq}
</update>
<delete id="delete" parameterType="boardDTO">
DELETE FROM BOARD
WHERE seq = #{seq}
AND password = #{password}
</delete>
<delete id="deleteAll">
DELETE FROM BOARD
</delete>
</mapper>
MyBatis에 관한 설정 파일 및 스크립트 파일을 완성했다면 database의 data에 접근하기 위한 DAO(Data Access Object)를 만들어 보자.
다음의 그림을 다시 한번 참조 해 보자!!! ( 여러 번 반복 할 것이다. )
확장성을 고려해 BoardDao 인터페이스와 이를 구현하는 BoardDaoMyBatis 클래스를 만들어 보자.
BoardDao.java (Data Access Object Interface)
package board.domain;
import java.util.List;
public interface BoardDao {
public abstract List<BoardDTO> list();
public abstract int delete(BoardDTO boardDTO);
public abstract int deleteAll();
public abstract int update(BoardDTO boardDTO);
public abstract int insert(BoardDTO boardDTO);
public abstract BoardDTO select(int seq);
public abstract int updateReadCount(int seq);
}
BoardDaoMyBatis.java (Dao를 구현하는 클래스)
package board.domain;
import org.mybatis.spring.SqlSessionTemplate;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Repository;
import java.util.List;
/*
@Repository 애노테이션은 DAO클래스를 Bean으로 등록하기 위해 사용
(DAO와 DDD 스타일 저장소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사용해야 한다.)
@Repository가 달린 클래스는 PersistenceExceptionTranslationPostProcessor와 함께 사용
되어질 때 Spring DataAccessException 변환에 적합하다. */
@Repository
public class BoardDaoImpl implements BoardDao{
private SqlSessionTemplate sqlSessionTemplate;
@Autowired // sqlSessionTemplate 인스턴스 주입 (Sql맵핑 클라이언트를 설정하는 주입 Setter이다.)
public void setSqlMapClient(SqlSessionTemplate sqlSessionTemplate) {
this.sqlSessionTemplate = sqlSessionTemplate;
}
@Override
public List<BoardDTO> list() {
// 인자로써 SQL 스크립트 파일에 명시된 id를 준다.
return sqlSessionTemplate.selectList("list");
}
@Override
public int delete(BoardDTO boardDTO) {
// 인자로써 SQL 스크립트 파일에 명시된 id와 parameterType의 객체를 준다.
return sqlSessionTemplate.delete("delete", boardDTO);
}
@Override
public int deleteAll() {
// 인자로써 SQL 스크립트 파일에 명시된 id와 parameterType의 객체를 준다.
return sqlSessionTemplate.delete("deleteAll");
}
@Override
public int update(BoardDTO boardDTO) {
return sqlSessionTemplate.update("update", boardDTO);
}
@Override
public int insert(BoardDTO boardDTO) {
return sqlSessionTemplate.insert("insert", boardDTO);
}
@Override
public BoardDTO select(int seq) {
return sqlSessionTemplate.selectOne("select", seq);
}
@Override
public int updateReadCount(int seq) {
return sqlSessionTemplate.update("updateCount", seq);
}
}
4.서비스 구현
일반적으로 DAO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당 하나를 만들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는 여러 테이블의 정보를 조합해서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하나의 서비스에서 다수의 DAO를 사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다수의 서비스가 하나의 DAO를 사용하기도 한다. 물론 대부분의 경우 하나의 서비스가 하나의 DAO와 관계를 맺는다. 게시판을 작성하다 보면 서비스가 단순히 DAO에게 위임하는 형태로 구성된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해 의구심을 갖는 개발자들이 있는데, 확장성과 유연성을 고려하면 서비스를 작성하는 것이 실보다 득이 더 많다. 또한 서비스는 DAO와의 연동뿐만 아니라 서버 기술(웹, 클라이언트/서버)이나 각 벤더별 데이터베이스에 종속되지 않은 로직을 구현하는 곳이기도 하기에 반드시 서비스를 작성하는 습관을 들이자.
다음의 그림을 참고해서 BoardService 인터페이스와 BoardServiceImpl 클래스를 만들어 보자.
BoardService.java
package board.service;
import board.domain.BoardDTO;
import java.util.List;
public interface BoardService {
public abstract List<BoardDTO> list();
public abstract int delete(BoardDTO boardDTO);
public abstract int edit(BoardDTO boardDTO);
public abstract void write(BoardDTO boardDTO);
public abstract BoardDTO read(int seq);
}
BoardServiceImpl.java
package board.service;
import board.domain.BoardDTO;
import board.domain.BoardDao;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import javax.annotation.Resource;
import java.util.List;
@Service
public class BoardServiceImpl implements BoardService {
@Resource
private BoardDao boardDao;
public BoardDao getBoardDao() {
return boardDao;
}
public void setBoardDao(BoardDao boardDao) {
this.boardDao = boardDao;
}
@Override
public List<BoardDTO> list() {
return boardDao.list();
}
@Override
public int delete(BoardDTO boardDTO) {
return boardDao.delete(boardDTO);
}
@Override
public int edit(BoardDTO boardDTO) {
return boardDao.update(boardDTO);
}
@Override
public void write(BoardDTO boardDTO) {
boardDao.insert(boardDTO);
}
@Override
public BoardDTO read(int seq) {
return boardDao.select(seq);
}
}
5.목록 구현 (Controller 구현)
다음의 그림을 참조해 사용자가 브라우저 주소창에 /board/list라고 하는 URL을 요청했을 때 이를 처리하는 메서드(RequestMapping Method)를 구현하자.
BoardController.java
package board.controller;
import board.service.Board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ponseBody;
@Controller
public class BoardController {
@Autowired
private BoardService boardService;
@RequestMapping(value = "/board/list")
@ResponseBody
public String list() {
return boardService.list().toString();
}
}
Controller를 작성하고 서버를 실행해 localhost:8080/board/list에 요청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뜬다.
위의 결과가 실행되지 않고 다음과 같은 에러가 뜬다면
이것은 프로젝트 라이브러리의 의존성간의 충돌이니 pom.xml을 활용해서 라이브러리 의존성을 다음과 같이 설정해주면 정상 결과가 뜰것이다.
이제 MVC에서 모델(Model)에 해당하는 부분을 구현해 보자. 모델은 컨트롤러에서 뷰로 전달해주는 정보다. 스프링 MVC에서 모델을 생성하는 것은 DispatcherServlet의 역할이다.
DispatcherServlet이 생성한 모델에 대한 참조 변수는 @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이 붙은 메서드에서 인자를 선언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받을 수 있다. 모델을 사용할 수 있도록 list() 메서드에 Model 타입 인자를 만들어 주고 MVC 모델의 마지막 요소인 뷰를 사용하도록 코드를 변경해 보자.
BoardController.java의 list 메서드에 추가할 코드
@RequestMapping(value = "/board/list")
public String list(Model model) { // 모델에 대한 참조변수를 인자로써 추가
// 모델에 속성을 추가
model.addAttribute("boardList", boardService.list());
return "WEB-INF/board/list"; // DispatcherServlet이 뷰를 선정하는 힌트
}
DispatcherServlet은 dispatcher-servlet.xml설정 파일을 참고하여 web/WEB-INF/board/list.jsp
를 뷰로써 보여준다.
이제 list.jsp를 생성하자.
web/WEB-INF/board/list.jsp
<%@ taglib prefix="c"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 page contentType="text/html;charset=UTF-8" language="java" %>
<html>
<head>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table border="1">
<tr>
<th>NO</th>
<th>제목</th>
<th>작성자</th>
<th>작성일</th>
<th>조회수</th>
</tr>
<c:forEach var="board" items="${boardList}" varStatus="loop">
<tr>
<td>${board.seq}</td>
<td><a href="<c:url value="/board/read/${board.seq}" /> ">${board.title}</a></td>
<td>${board.writer}</td>
<td>${board.regDate}</td>
<td>${board.cnt}</td>
</tr>
</c:forEach>
</table>
<a href="<c:url value="/board/write"/> ">새글</a>
</body>
</html>
위의 코드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컨트롤러에서 모델에 담아서 보내준 정보인 boardList
는 EL 표기법인 ${boardList}
를 이용해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모든 내용을 저장하고 서버를 다시 시작해 /board/list
로 요청을 보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브라우저에서 볼 수 있다.
6. 읽기 구현
완성된 List 화면에 코드 보기를 하면 각 글의 읽기 페이지 링크가 /board/read/글번호
형식으로 돼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스프링 MVC에서는 이처럼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 엔진 최적화)에 최적화된 URL을 처리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이 때 @PathVariable
어노테이션을 사용한다.
BoardController.java에 다음과 같은 메소드를 추가하자.
@RequestMapping(value = "/board/read/{seq}") // {seq}는 경로 변수라고 한다.
public String read(Model model, @PathVariable int seq) { //seq인자에는 @PathVariable 애노테이션으로 인하여 값이 자동 바인딩 된다.
model.addAttribute("boardDTO", boardService.read(seq));
return "/WEB-INF/board/read";
}
경로 변수({seq})를 메서드의 인자로 사용하려면 @PathVariable 애노테이션을 인자에 지정하면 된다.
위의 Request를 처리하기 위해 DispatcherServlet이 찾을 WEB-INF/board/read.jsp는 다음과 같다.
WEB-INF/board/read.jsp
<%@ taglib prefix="c"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
<%@ page contentType="text/html;charset=UTF-8" language="java" %>
<html>
<head>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table border="1">
<tr>
<th>제목</th>
<td>${boardDTO.title}</td>
</tr>
<tr>
<th>작성자</th>
<td>${boardDTO.writer}</td>
</tr>
<tr>
<th>작성일</th>
<td>${boardDTO.regDate}</td>
</tr>
<tr>
<th>조회수</th>
<td>${boardDTO.cnt}</td>
</tr>
</table>
<div>
<a href="<c:url value="/board/edit/${boardDTO.seq}"/>">수정</a>
<a href="<c:url value="/board/list"/>">목록</a>
</div>
</body>
</html>
서버를 다시 실행해 해당 URL에 요청을 보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화면에서 볼 수 있다.
7. 새 글 구현
Controller 요구사항
@RequestMapping
에서 호출 방식이 GET 방식이냐 POST 방식이냐를 구분해서 같은 URL로 요청이 들어와도 별개의 메서드가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글쓰기 요청을 처리하는 메서드를 구현해 보자.BindingResult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이용해서 바인딩 에러 처리 코드를 메서드에 구현해 보자.- 하이버네이트의 Validator를 사용해서 유효성 검사를 위한
@Valid
애노테이션을 사용해 보자.
Controller 요구사항을 구현하기에 앞서 dispatcher-servlet.xml
파일에 ViewResolver의 prefix
속성을 다음과 같이 수정했고, @Valid
애노테이션을 사용하기 위해서 <mvc:annotation-driven/>
코드를 추가하였다.
<mvc:annotation-driven/>
<bean class="org.springframework.web.servlet.view.InternalResourceViewResolver">
<property name="prefix" value="/WEB-INF"/>
<property name="suffix" value=".jsp"/>
</bean>
요구사항을 구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메서드를 BoardController.java 파일에 추가하고 중복된 메서드는 지우자.
@RequestMapping(value = "/board/write", method = RequestMethod.GET)
public String write(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boardDTO", new BoardDTO());
return "/board/write";
}
@RequestMapping(value = "/board/write", method = RequestMethod.POST)
public String write(@Valid BoardDTO boardDTO, BindingResult bindingResult) { // 바인딩 결과 인자
if (bindingResult.hasErrors()) { // 바인딩 에러 처리 코드
return "/board/write";
}
boardService.write(boardDTO);
return "redirect/board/list"; // PRG 패턴
}
위의 코드에서 주목할 점은 스프링 MVC는 form 태그에서 전송된 input 태그의 name 속성과 BoardDTO 인스턴스의 속성 이름을 비교해 자동으로 그 값을 바인딩해 준다.
스프링 MVC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사용자가 입력 태그를 통해 입력한 내용을 HttpServletRequest의 인스턴스(request)에서 getParameter() 메서드를 이용해 가져온 후 BoardDTO 인스턴스의 속성에 넣어주기 위해 형변환까지 해야 했을 것이다.
PRG 패턴 (POST - Redirect - GET)
Post Request후 Redirect를 하지 않고 그냥 뷰만 바꾸어준다면 URL은 POST 요청했을 때와 동일하고 그냥 보여지는 View만 바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새로고침을 하게되면 이전의 POST Request가 다시 한번 서버로 요청되어서 데이터베이스에 중복된 값이 저장되는 사태가 발생한다.
그래서 꼭 POST Request 후에 Redirect를 이용해서 GET Request해야 한다.
실제 유효성 검증을 위해 BoardDTO를 다음과 같이 수정하자.
package board.domain;
import org.apache.ibatis.type.Alias;
import org.hibernate.validator.constraints.Length;
import org.hibernate.validator.constraints.NotEmpty;
import java.sql.Timestamp;
@Alias("boardDTO")
public class BoardDTO {
private int seq;
@Length(min = 2, max = 5, message = "제목은 2자 이상, 5자 미만 입력하세요.")
private String title;
@NotEmpty(message = "내용을 입력하세요.")
private String content;
@NotEmpty(message = "작성자를 입력하세요.")
private String writer;
private int password;
private Timestamp regDate;
private int cnt;
// 이하 생략
다음으로 뷰 역할을 할 JSP 파일을 구현하자.
/WEB-INF/board/write.jsp
<%@ taglib prefix="c"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
<%@ taglib prefix="form" uri="http://www.springframework.org/tags/form" %>
<%@ page contentType="text/html;charset=UTF-8" language="java" %>
<html>
<head>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 form 태그에 action 정보가 없어도 Spring이 브라우저 창을 참고해서 자동으로 action정보를 설정 --%>
<form:form commandName="boardDTO" method="post">
<table border="1">
<tr>
<th><form:label path="title">제목</form:label></th>
<td><form:input path="title"/>
<form:errors path="title"/></td>
</tr>
<tr>
<th><form:label path="content">내용</form:label></th>
<td><form:input path="content"/>
<form:errors path="content"/></td>
</tr>
<tr>
<th><form:label path="writer">작성자</form:label></th>
<td><form:input path="writer"/>
<form:errors path="writer"/></td>
</tr>
<tr>
<th><form:label path="password">비밀번호</form:label></th>
<td><form:input path="password"/>
<form:errors path="password"/></td>
</tr>
</table>
<div>
<input type="submit" value="등록">
<a href="<c:url value="/board/list"/>">목록</a>
</div>
</form:form>
</body>
</html>
모든 코드를 구현해서 새로운 글을 등록한 후 /board/list로 요청을 보낸 응답은 다음과 같다.
8. 수정 구현
글 수정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BoardController.java
에 다음의 코드를 추가하자.
@Controller
@SessionAttributes("boardDTO")
public class BoardController {
// 생략
@RequestMapping(value = "/board/edit/{seq}", method = RequestMethod.GET)
public String edit(@PathVariable int seq, Model model) {
BoardDTO boardDTO = boardService.read(seq);
model.addAttribute("boardDTO", boardDTO);
return "/board/edit";
}
@RequestMapping(value = "/board/edit/{seq}", method = RequestMethod.POST)
public String edit(@Valid @ModelAttribute BoardDTO boardDTO, BindingResult result, int pwd, SessionStatus sessionStatus, Model model) {
if(result.hasErrors()) {
return "/board/edit";
} else {
// 스프링은 pwd라는 이름을 가진 input 태그의 값을 맵핑 메소드의 pwd인자로 자동바인딩 해준다.
// 자동 바인딩된 pwd값과 boardDTO가 가진 password 속성의 값을 비교
if(boardDTO.getPassword() == pwd) {
boardService.edit(boardDTO);
return "redirect:/board/list";
}
}
model.addAttribute("msg",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return "/board/edit";
}
}
위 코드에서는 세션을 사용해서 비밀번호 인증을 하였다.
Spring MVC 컨트롤러에서 세션을 활용하는 방법
- MVC 컨트롤러에
@SessionAttributes("Session에 저장할 객체명")
애노테이션을 지정한다. - 세션에서 저장한 객체를 활용하는
edit()
메서드의 인자에@ModelAttribute
애노테이션을 지정한다. - 더 이상 세션을 사용하지 않게 됐을 때 스프링 MVC가 제공하는 SessionStatus 객체의
setComplete()
메서드를 이용한다.
세션을 사용을 위해 추가된 코드의 의미를 하나하나 파해쳐 보자.
- @SessionAttributes(“boardDTO”) : boardDTO라는 이름으로 객체가 MVC의 모델에 추가될 때 세션에도 boardDTO를 저장하라고 지정한다.
- model.addAttribute(“boardDTO”, boardDTO); : MVC 모델에 boardDTO라는 이름으로 객체를 추가하면
@SessionAttributes
에 의해 자동으로 세션에도 추가된다. - @ModelAttribute BoardDTO boardDTO : POST 요청을 처리하는
edit()
메서드의 인자인데,HttpServletRequest
를 이용해 자동으로 바인딩될 것이다.@SessionAttributes
에서 boardDTO가 지정된 경우 세션에 의한 바인딩이 먼저 실행되고, 그 후에HttpServletRequest
에 있는 정보로 갱신된다. 이때HttpServletRequest
에 존재하지 않는 속성은 세션에 있는 값을 유지하게 된다. - SessionStatus sessionStatus : POST요청을 처리하는
edit()
메서드의 인자인데, 세션에 대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객체이다. - sessionStatus.setComplete(); :
@SessionAttributes
에 의해 세션에 저장된 객체를 제거하는 코드이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edit()
메소드에서 사용하는 edit.jsp
파일은 다음과 같다.
<%@ taglib prefix="c"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
<%@ taglib prefix="form" uri="http://www.springframework.org/tags/form" %>
<%@ page contentType="text/html;charset=UTF-8" language="java" %>
<html>
<head>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 form 태그에 action 정보가 없어도 Spring이 브라우저 창을 참고해서 자동으로 action정보를 설정 --%>
<form:form commandName="boardDTO" method="post">
<table border="1">
<tr>
<th><form:label path="title">제목</form:label></th>
<td><form:input path="title"/>
<form:errors path="title"/></td>
</tr>
<tr>
<th><form:label path="content">내용</form:label></th>
<td><form:input path="content"/>
<form:errors path="content"/></td>
</tr>
<tr>
<th><form:label path="writer">작성자</form:label></th>
<td><form:input path="writer"/>
<form:errors path="writer"/></td>
</tr>
<tr>
<th><label for="pwd">비밀번호</label></th>
<%-- form 태그를 사용하면 글을 등록할 때 입력했떤 비밀번호가 채워지기 때문에 input 태그를 사용 --%>
<td><input type="password" id="pwd" name="pwd"/>${msg}</td>
</tr>
</table>
<div>
<input type="submit" value="등록">
<a href="<c:url value="/board/list"/>">목록</a>
</div>
</form:form>
</body>
</html>
9. 삭제 구현
글을 삭제하기 위해서는 비밀번호를 입력받을 방법이 필요하다. 별도의 페이지를 띄워 비밀번호를 입력 받도록 하겠다.
먼저 읽기 화면(read.jsp)에 글을 삭제하기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받을 페이지에 대한 링크를 만든다.
/board/read.jsp
<%-- ...생략... --%>
</table>
<div>
<a href="<c:url value="/board/edit/${boardDTO.seq}"/>">수정</a>
<a href="<c:url value="/board/delete/${boardDTO.seq}"/>">삭제</a>
<a href="<c:url value="/board/list"/>">목록</a>
</div>
</body>
</html>
BoardController.java에 /board/delete URL 요청을 처리할 메서드를 추가한다.
BoardController.java
@RequestMapping(value = "/board/delete/{seq}", method = RequestMethod.GET)
public String delete(@PathVariable int seq, 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seq", seq);
return "/board/delete";
}
@RequestMapping(value = "/board/delete", method = RequestMethod.POST)
public String delete(int seq, int pwd, Model model,) {
int rowCount;
BoardDTO boardDTO = new BoardDTO();
boardDTO.setSeq(seq);
boardDTO.setPassword(pwd);
rowCount = boardService.delete(boardDTO);
if (rowCount == 0) {
model.addAttribute("seq", seq);
model.addAttribute("msg",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return "/board/delete";
} else {
return "redirect:/board/list";
}
}
그리고 비밀번호를 입력받을 delete.jsp파일을 만들자.
/board/delete.jsp
<%@ taglib prefix="c"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
<%@ page contentType="text/html;charset=UTF-8" language="java" %>
<html>
<head>
<title>Title</title>
</head>
<body>
<form name="deleteForm" action="<c:url value="/board/delete"/>" method="post">
<input name="seq" value="${seq}"/>
비밀번호<input name="pwd"/>
<input type="submit">
<a href="<c:url value="/board/read/"/>">취소</a>
</form>
<div>${msg}</div>
</body>
</html>
이제 웹 서버를 재구동하고 글을 삭제해 보면, 잘 작동한다.
이로써 Spring MVC를 활용한 게시판 구축하기에 대한 글은 마치고 독자는 Session을 활용해서 게시판을 더 간단히 리팩토링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생각 해 보길 권한다.
참조 : 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저자: 김종민)
Subscribe via RSS